[화장품수입이야기] 9. 내가쓰는 화장품은 어떤 기능성화장품일까?
가끔 화장품/수입 이야기를 하는 잠괭입니다.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다시피 이 화장품이 심사를 받은 화장품인지 보고서만 내고 등록성분을 사용한 화장품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여자분들은 화장품을 사시면 종이껍데기나 중요한 성분데이터 등이 기입되어있는 부분은 홀라당 버리시기때문에.. 어? 이게 어떤기능성화장품이지? 싶으실때가 많으실꺼에요.. 사실 안에 있는 인서트지도 왜 들어있는지 몰라서 한번 읽고 휙- 하고 던져버리는게 기본이니까요 ^^;;;
식약처에서는 나름 공을 들여서 이런게 뭐가 있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아래 사이트를 통해 공개를 하고 있습니다.아무도 안찾아서 그렇지.
겉으로 보면 사이트가 말끔하고 이쁘게 보입니다만.... 원하는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는 던전화 되어있습니다. 사업자들만 쓴다고 제대로 던전화 시켜놨어요....
음 근데 사실은 성분까지 확인을 할 수 있는것으로 알고서는 글을 준비를 했습니다만, 아래의 메뉴가 성분까지 오픈되어있지 않고, 그냥 기능성화장품이 보고인지 심사된 제품인지만 알 수 있게 되어있더군요... :(
어쩔 수 없이 보고제품에 대해서는 보고의 종류와 대략 알 수 있는 성분(?) 을 알려드리고, 얼마나 기술개발에 힘을 쓰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까있던 식약처 홈페이지에서 메뉴버튼 (三) 을 누르면,
화장품제품정보 / 화장품보고제품정보 가 있습니다.
각각, "심사품목" / "보고품목" 으로 나뉩니다.
잠깐 여기서 심사/보고의 차이를 다시 설명해드리면,
위와 같습니다. 보고의 경우 기존의 심사받은 성분을 재활용 하거나, 식약처 고시성부을 쓰면 되기때문에 쉽고 빠르게 기능성화장품을 양산할 수 있죠. (좋고 나쁨을 뜻하는건 아닙니다.)
각각 위의 메뉴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거기에서 제품명을 입력하고,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어떤 기능성인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유명한 제품중에 하나인 L사의 제품을 검색해봤습니다.
자외선차단, 미백, 주름개선 삼중기능성이네요. :)
쿠션제품의 경우 쿠션하단에 이름이나 제조번호 등은 기입이 되어있지만, 자리가 부족하여 기능성화장품 정보가 기입누락되어있는 경우가 종종 있거든요 (국문표시사항이야기는 또 나중에 할껍니다! 으으 식약처 으으...)
게다가 그 제품이 단종이라 정보가 없다? 그럴때는 위의 사이트를 통해서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사족으로 말하자면....
사실 식약처에서는 이런 페이지에 어떤 성분이 기능성화장품의 기능을 하고 있는지 더 확실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는데 왜 안보여주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소비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줘야 회사가 더 새로운 기술이나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서 노력할텐데 말이죠.....
쉽게 성분을 알아보는 법은 다음시간에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분량조절 안되어서 도망가는거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