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건전함

[일본어이야기] 4. 고맙습니다! ありがとう 의 어원은?

잠괭 2019. 1. 27. 09:30

지난 시간에는 미안함을 표현했으니 이제 고마움을 표시해봅시다.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아리가또고자이마스)

한국인의 70% 이상은 알고 있는 표현일 껍니다.
감사합니다 / 고맙습니다 라는 이 표현.
이 표현에 대한 어원을 찾아보죠.

재미삼아 한국어의 "고맙습니다." 어원을 먼저 찾아봅니다. (도와줘요 구글님)

아 이런 링크가 있었네요.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61&qna_seq=12164

가. ‘고맙다’의 어원
‘고맙다’는 ‘고마’에 ‘ㅂ다’가 붙어서 된 말이다.
보기) 고마 경(敬)<類合下1>, 서르 고마하야 드르샤 설법하시니(‘하’의 모음은 아래아)<釋 6:12>.
‘고마’는 공경(恭敬)과 존귀(尊貴)의 뜻을 지니는 명사다.
‘고맙다’가 ‘尊貴하다’의 뜻으로 쓰였다. ‘고맙다’가 ‘감사하다’로 쓰인 것은 <<한중록(閑中錄)>>에 보인다.
공경, 존귀의 뜻에서 감사의 뜻으로 전의되었다.
‘고마’의 어근은 ‘곰’이고, 여기에 ‘아’ 접미사가 붙었다.
‘감’이라는 말이 ‘신(神)’의 뜻을 지니고 있는데, 고마(恭敬)의 ‘곰’도 ‘감(神)’과 동원어(同源語)라 여겨진다.
고대인에게 있어서 공경, 존귀의 대상은 신이다. 따라서 신에게 감사한다는 어원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정 연구원의 연구결과니까 맹신하진 말랍니다. 고마워요 국어국립원....

....뭐라는지 모르겠으니 그냥 다음으로 넘어가죠.

일본어의 아리가또도 한자 먼저봐야합니다. (한자좀 그만써라 이놈들아)

有(아리)難う(가또)

앞의 한자는 있다는 유 자고
뒤는 뭔지 모르겠으ㄴ.... 어렵다 할때 난자 입니다.

즉 원래의 뜻은 "있기 어려운것" 이라는 뜻이었습니다.

헤이안시대(794-1185) 까지만 해도 있기 어렵다는 뜻으로 쓰였고, 일부 작품(마쿠라노소시)에서도 등장합니다.

대략, "세상살기 힘들다!" 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네요. (예나 지금이나)

그러다가 전쟁이 넘치는 중세에 접어들면서 불교문화가 퍼지면서 종교적 감사의 마음을 담아 말하는 뜻으로 "아리가또" 가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종교적 언어는 근세에 접어들어 우리가 흔히 쓰는 고맙습니다. 라는 말로 변형되게 되었다고 합니다.

정리하면,
살기 힘들어! > 자비에 감사 > 고맙습니다
로 변해왔네요.(그만좀 바꿔 이놈들아!)

전쟁이 많다보니 언어도 불교의 영향(자비..)을 많이 받은 것 같습니다. :)

그럼, 읽어주셔서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D
비정기적이지만 다음시간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