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서/건전함

[일본어이야기] 8. 전화 電話 (2)

지난이야기에서 전화와 인사 그리고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했습니다.

이번에는 현대에 들어와서 생긴 전화와 관련된 말들과 어원, 이야기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이제는 집전화보다 휴대전화가 더 많은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니 휴대전화를 먼저 알아보도록 하죠.

ケータイ[게-타이/휴대폰]

携帯電話[けいたいでんわ/게-타이뎅와/휴대전화] 에서 뒤의 전화를 떼고 카타카나만을 써서 표기하고 있는데요.
왜 저렇게 쓰게 되었을까를 생각해보면 한자획수를 보세요!!

13획, 10획, 13획, 13획 어휴 휴대전화 라고 쓰는데만 1분넘게 걸리겠네요. 할말들도 많은 시대인데... 그래서 가타카나로 바꿉니다.
ケイタイ[게이타이] 여기서 い[이]를 어차피 발음상에선 장음이 되니 장음 표시로 바꿉니다.
ケータイ[게-타이] 짜짠 완성... (그래서 어원이 뭔데)
사실, 이렇게 부르게 된대는

왜 카타카나를 썼느냐? 이것은 일본 10대 청소년의 영향이 컸습니다.
10대 청소년들이 "휴대전화" 는 너무 길고 획수도 많으니 쓰기 귀찮으니 카타카나만 쓰자. 하고 ケイタイ라고 썼더니,
아이고 세상에나 어르신들이 短歌[たんか/탄카/단가.음율시]에다가 음율 맞춘다고 쓰고있네요? (단가는 5,7,5,7,7 과 같이 음율을 맞춰서 시를 작성해야하는 룰이 있습니다 [그래놓고 그런 음율을 파괴한 시를 문학 문제로 내죠])
그래서 이를 장음으로 바꿔서 ケータイ[게-타이/휴대폰]라고 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 일본은 한국에 비해서 줄인말, 유행어 등의 사용을 적극 권장+사용합니다.)

그럼 최근에 등장한 스마트폰과 지금까지 써온 피쳐폰은 어떻게 구분해서 쓰고 있을까요?
직접찍은 사진

ガラケー[가라케-/피쳐폰]

게라케- 는 갈라파고스 + 휴대전화 가 합쳐져서 갈라파고스폰 이라는 의미로 가라케- 라고 부르죠.

우리나라에서는 어르신들이나 쓰는 것이라는 느낌이 있지만....
일부 여성분들께서는 피쳐폰을 쓰는 남성이 真面目[まじめ/마지메/성실함] 해 보인다고도 하네요.
時代遅れ[じだいおくれ/지다이오쿠레/시대에 뒤쳐짐] 같아보이는데요..

직접찍은 사진
(지금 제가쓰는 전화입니다 3년째 학대당하고 사망하셨습니다....)

スマホ[스마호/스마트폰]

우리가 쓰는 스마트폰을 줄인 말입니다. 신기하게 3글자네요.

풀네임은スマートフォン[스마-토퐁/스마트폰]입니다.
일본식으로 줄이면, スマフォ[스마포] 가 되어야 맞는데.....
영 걸리적 스러우니 スマホ[스마호] 라고 쓰기 시작해서 정착되었다고 합니다.

ポケベル[포케베루/삐삐]

~~얜 그냥 덤이요. ポケットベル[포켓또베루/무선호출기]를 줄인겁니다. 여러분 14106!! (일본어로 あいしてる) ~~

전화 관련된 이야기가 참 많았죠? 정리를 좀 해봅시다.

  1. ケータイ[게-타이/휴대폰]
  2. 携帯電話[けいたいでんわ/게-타이뎅와/휴대전화]
  3. 短歌[たんか/탄카/단가.음율시]
  4. ガラケー[가라케-/피쳐폰]
  5. スマホ[스마호/스마트폰]
  6. スマートフォン[스마-토퐁/스마트폰]
  7. ポケベル[포케베루/삐삐]
  8. 時代遅れ[じだいおくれ/지다이오쿠레/시대에 뒤쳐짐]
  9. 真面目[まじめ/마지메/성실함]

여러분은 지금 오늘 이야기에서 9개의 단어를 배우신겁니다! (두개나 빼먹었네요 수정했습니다.)
축하드려요 :)

그럼 다음시간에도 유익하고 흥미진진한 소재를 찾아서 떠나겠습니다 (몇개 안했는데 벌써 소재고갈)

참고자료



ケータイは、なぜカタカナ表記なのか?

スマートフォンの略称が「スマホ」になった理由を『週刊アスキー』の中の人に訊いてみた